0.series
현대 프로그래밍 역사 시리즈: "코드로 본 문명사"
📚 시리즈 개요
프로그래밍 세계의 혁신적 순간들을 날카로운 통찰과 재미있는 비유로 풀어내는 역사 시리즈
🎯 Season 1: 언어와 도구의 혁명 (1990s-2010s)
Episode 1: "바벨탑의 재건축" - LLVM IR 표준화 이야기
컴파일러 세계의 통일과 언어 창조의 민주화
Episode 2: "자바스크립트의 우연한 제국"
10일 만에 만든 언어가 세상을 지배하기까지
- 브렌든 아이크의 10일간의 광기
- "웹 페이지 장식용"에서 "풀스택 언어"까지
- V8 엔진: 인터프리터에서 JIT의 기적
- Node.js: 브라우저 감옥에서 탈출한 JS
Episode 3: "깃의 탄생: 리누스의 두 번째 혁명"
2주 만에 만든 도구가 협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다
- BitKeeper 사건: 갑작스러운 이별
- "내가 직접 만들겠다": 리누스의 오기
- 분산 vs 중앙집중: 협업 철학의 대전환
- GitHub: 깃을 SNS로 만든 마법
Episode 4: "오픈소스의 승리: GPL에서 MIT까지"
코드 공유의 철학이 산업을 바꾸다
- 리차드 스톨만의 성전(聖戰)
- 리눅스: 취미 프로젝트에서 전 세계 인프라까지
- 라이선스 전쟁: GPL vs BSD vs MIT
- 마이크로소프트의 항복선언 "Microsoft ❤️ Linux"
🌐 Season 2: 웹의 진화와 프론트엔드 혁명 (2000s-2020s)
Episode 5: "jQuery에서 React까지: 프론트엔드 왕조의 흥망성쇠"
DOM 조작의 고통에서 컴포넌트 천국까지
- jQuery 시대: "Write Less, Do More"의 달콤한 거짓말
- AngularJS: 구글의 야심찬 실험
- React: 페이스북이 던진 혁명의 돌
- Vue.js: 개인 개발자의 반란
Episode 6: "웹팩과 번들링 지옥: 모듈 시스템의 혼돈"
간단한 HTML 파일에서 복잡한 빌드 시스템까지
- 모듈이 없던 시절: 전역 변수의 무법천지
- CommonJS vs AMD: 서버와 브라우저의 갈등
- ES6 모듈: 표준의 늦은 등장
- 웹팩, 롤업, 비트: 번들러 춘추전국시대
Episode 7: "타입스크립트: 자바스크립트에게 날개를 달아주다"
마이크로소프트가 구원한 동적 타입의 혼돈
- "자바스크립트는 장난감"이라는 편견
- 안더스 하일스베르그의 마이다스 손
- 점진적 타입 시스템의 천재성
- Angular, Vue의 TS 전향: 승부의 종료
⚡ Season 3: 성능과 안전성의 추구 (2010s-현재)
Episode 8: "러스트: 메모리 안전성 혁명"
시스템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성배
- C/C++의 영광과 좌절: 성능 vs 안전성의 딜레마
- 모질라의 브라우저 엔진 프로젝트에서 시작
- Ownership과 Borrowing: 컴파일 타임의 마법
- 시스템 프로그래밍 민주화: "더 이상 segfault는 없다"
Episode 9: "Go의 단순함: 구글이 꿈꾼 서버 언어"
"Less is More"의 철학으로 복잡성과 싸우다
- 구글 내부의 C++ 피로감
- 로버트 그리즈머, 롭 파이크, 켄 톰슨의 만남
- 고루틴: 동시성 프로그래밍의 새로운 패러다임
- 도커, 쿠버네티스: Go 생태계의 킬러 앱들
Episode 10: "WebAssembly: 웹 성능의 마지막 퍼즐"
브라우저 안에서도 네이티브급 성능을
- Flash의 몰락과 성능에 대한 갈증
- asm.js: 자바스크립트 부집합의 실험
- WASM의 등장: 모든 언어를 웹으로
- 게임부터 비트코인 마이닝까지: 새로운 가능성들
🏗️ Season 4: 인프라와 배포의 혁명 (2010s-현재)
Episode 11: "도커: 컨테이너가 바꾼 세상"
"내 컴퓨터에서는 되는데"를 영원히 묻어버리다
- 가상머신의 무거운 유산
- 솔로몬 하이크스의 dotCloud 실험
- "Build once, Run anywhere"의 진정한 구현
- 쿠버네티스와 오케스트레이션 전쟁
Episode 12: "클라우드 네이티브: 서버리스의 등장"
서버를 관리하지 않고 코드만 배포하는 꿈
- AWS Lambda의 충격적 등장
- "NoOps"의 유토피아와 현실
- JAMstack: 정적 사이트의 화려한 부활
- Edge Computing: CDN에서 컴퓨팅까지
Episode 13: "마이크로서비스: 모놀리스의 해체"
거대한 시스템을 작은 조각으로 나누다
- 넷플릭스의 실험: 모놀리스에서 마이크로서비스로
- 분산 시스템의 복잡성: CAP 정리의 현실
- API Gateway, Service Mesh: 인프라의 진화
- "분산 모놀리스"라는 새로운 안티패턴
🤖 Season 5: AI와 프로그래밍의 융합 (2020s-현재)
Episode 14: "GitHub Copilot: AI 페어 프로그래머의 등장"
코딩의 미래, 인간과 AI의 협업
- GPT의 코드 생성 능력 발견
- "AI가 내 일을 뺏을까?"에서 "AI와 함께 일하자"로
- 저작권과 윤리 논란: 오픈소스 코드 학습의 딜레마
- 프로그래밍 교육의 패러다임 변화
Episode 15: "코드 제네레이션: 템플릿에서 LLM까지"
반복 작업을 자동화하는 도구들의 진화
- 코드 생성기들: Yeoman, 스캐폴딩 도구들
- 메타프로그래밍: 코드를 작성하는 코드
- 로우코드/노코드 플랫폼의 부상
- AI 코딩 어시스턴트들의 춘추전국시대
🔮 Season 6: 미래를 향한 실험들 (현재-미래)
Episode 16: "양자 컴퓨팅과 프로그래밍 패러다임"
큐비트로 코딩하는 시대가 온다
- 전통적 비트에서 양자 비트로
- Qiskit, Cirq: 양자 프로그래밍 언어들
- 양자 우월성과 현실적 응용
- 프로그래머가 알아야 할 양자 컴퓨팅
Episode 17: "웹3와 탈중앙화: 블록체인이 바꿀 인터넷"
중앙서버 없는 애플리케이션의 가능성과 한계
- 비트코인 스크립트에서 스마트 컨트랙트까지
- Solidity: 블록체인 전용 언어의 등장
- DApp 개발의 현실: 이상과 현실의 괴리
- NFT, DeFi: 새로운 애플리케이션 모델들
Episode 18: "프로그래밍의 미래: 인간은 여전히 필요할까?"
코드 작성부터 배포까지, 자동화의 끝은 어디인가
- 자동 코드 생성의 한계와 가능성
- 프로그래머의 역할 변화: 코더에서 프롬프트 엔지니어로?
- 소프트웨어 개발의 민주화: 누구나 개발자가 되는 시대
- 인간 중심 설계의 중요성: 기술과 인간성의 균형
🎬 Special Episodes
SP1: "실패한 혁신들: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기술들"
Silverlight, Flash, Internet Explorer - 왜 그들은 사라졌을까
SP2: "오픈소스 영웅들: 세상을 바꾼 개발자들"
리누스 토발즈, 브렌든 아이크, 구이도 반 로섬 등의 숨겨진 이야기들
SP3: "기업 문화와 프로그래밍: 구글 vs 마이크로소프트 vs 애플"
각 회사의 개발 철학이 기술에 미친 영향
📝 시리즈 특징
- 비유 중심: 복잡한 기술을 일상적 경험으로 설명
- 역사적 맥락: 기술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과 필요성 분석
- 인물 중심: 기술 뒤에 숨은 사람들의 이야기
- 현실적 시각: 기술의 장단점을 균형 있게 조명
- 미래 전망: 각 기술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 제시
"기술은 혼자 태어나지 않는다. 시대의 필요와 인간의 창의성이 만나는 지점에서 기적이 일어난다."